안녕하세요. 오늘은 SAP HANA의 MDC(Multi-tenant Database Container) 환경에서 Tenant DB를 만들고, 그에 따른 포트 구성과 접속 규칙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Single DB 환경과는 다르게, MDC 구조에서는 시스템DB와 Tenant DB가 각각의 고유 포트 번호를 가지며, 그 규칙을 이해해두면 운영과 장애 대응이 훨씬 수월해집니다.
🔸 1. SYSTEM DB 포트 규칙
SAP 시스템의 포트는 기본적으로 3<Instance Number>xx 형태로 고정됩니다.
SYSTEM DB는 아래 규칙을 따릅니다.
Internal Communication | 3<Instance>01 |
SQL | 3<Instance>13 |
HTTP (XS Classic Server) | 3<Instance>14 |
예시
Instance 번호가 00이라면
- 30001 (internal)
- 30013 (SQL)
- 30014 (HTTP)
이렇게 배정됩니다.
🔸 2. Tenant DB 포트 규칙
Tenant DB는 SYSTEM DB와 다른 포트 대역을 사용합니다.
매뉴얼에 따르면
기본 Tenant DB 포트 범위는 3<Instance>40 ~ 3<Instance>99 입니다.
여기서 Tenant DB마다 3개의 포트를 할당 받습니다.
예를 들면,
TEST1 | 30040 | 30041 | 30042 |
TEST2 | 30043 | 30044 | 30045 |
총 (99-40)/3 = 20개의 Tenant DB를 기본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.
▶️ 포트 범위 확장 가능
global.ini 의 [multidb] 섹션에서
reserved_instance_numbers 값을 변경하여 최대 포트 범위를 늘릴 수 있습니다.
0 (기본) | 30040~30099 |
1 | 30040~30199 |
2 | 30040~30299 |
🔸 3. Single DB → Tenant DB로 전환 시 포트
Single DB에서 Tenant DB로 전환했을 경우 기존 포트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합니다.
Internal Communication | 3<Instance>03 |
SQL | 3<Instance>15 |
HTTP | 3<Instance>08 |
이 때문에 HANA2 SPS01 버전에서는 처음 설치 시에도
기본 Tenant DB가 30040부터 시작하지 않고 기존 포트 30015로 접속할 수 있어 마치 Single DB처럼 사용이 가능해집니다.
▶️ HANA2 SPS01 설치 예시
SYSTEMDB | 30001 | 30013 | 30014 | |
HAN | 30003 | 30015 | 30008 | Single DB에서 전환된 Tenant DB |
TEST1 | 30040 | 30041 | 30042 | |
TEST2 | 30043 | 30044 | 30045 |
🔸 4. Tenant DB의 포트 정보 조회 쿼리
해당 DB의 포트 정보를 확인할 때는 아래 쿼리를 사용합니다.
FROM SYS_DATABASES.M_SERVICES
WHERE DATABASE_NAME='<DBNAME>'
AND (
(SERVICE_NAME='indexserver' AND COORDINATOR_TYPE='MASTER')
OR SERVICE_NAME='xsengine'
)
▶️ 정리
SAP HANA MDC 환경에서는 SYSTEM DB와 Tenant DB 각각 정해진 포트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, 이를 명확하게 이해해두면 접속 문제나 포트 충돌 이슈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 특히 Single → Tenant 전환 시 기존 포트 존중 여부도 운영에 중요한 부분이니 꼭 기억해두세요.
'o HANA 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ANA Admin - Hostname Rename (0) | 2023.09.11 |
---|